의료현장에서 고객의 만족도 향상과 병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병원코디네이터의 역할은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.
본 과정은 병원코디네이터들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실무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. 이를 통해 고객만족과 병원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핵심적인 전문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.
김은영
중앙대학교 대학원 보건학 2010년 08월 / 석사졸업
차시 | 내용 |
---|---|
1차시 | 의료서비스 환경과 코디네이터 |
2차시 | 진료 접수하기 |
3차시 | 고객진료정보 파악하기 |
4차시 | 대기고객 관리하기 |
5차시 | 고객정보 분류하기 |
6차시 | 고객매뉴얼 관리하기 |
7차시 | 고객 사후관리 |
8차시 | 온라인 예약 관리하기 |
9차시 | 오프라인 예약 관리하기 |
10차시 | 예약일정 관리하기 |
11차시 | 고객정보 전달하기 |
12차시 | 진료대기시간 관리하기 |
13차시 | 진료 전 설명하기 |
14차시 | 청구 수납하기 |
15차시 | 미수금 환불 관리 |
16차시 | 증명서 발급하기 |
17차시 | 보험 청구하기 |
18차시 | 병원정보 관리하기 |
19차시 | 온라인 고객 관리하기 |
20차시 | 고객 만족도 조사하기 |
평가항목 | 진도율 | 시험 | 과제 | 진행단계평가 | 수료기준 |
---|---|---|---|---|---|
평가비율 | - | 80% | 10% | 10% | - |
수료조건 | 80%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60점 이상 |